내신/수능 전과목 학습법
페이지 정보

본문
안녕하세요!
고촌에서 학생들을 지도한 지 1년여가 되었습니다.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느겼던 점들 중에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전략이 없다, 계획적이거나 체계적이지 않다는 것입니다.
또 자기주도학습을 말하려는 것이구나 하실 것 같아,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막연히 자기주도학습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리기 보다는, 구체적으로 학습법을 말씀드리고 싶어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학생들에게 필요한 자세는, 먼저,
부지런하고 전략적으로 사고하며,
계획적이고 실천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또한, 현재의 욕망을 잠시 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미래를 꿈꾸며 상상하고 공상하는 학생들이 학습을 위한 동력을 얻습니다. 스마트폰을 들여다보거나,
온라인 게임을 하는 시간에 맘껏 꿈꾸고 상상하고 공상하도록 유도해주세요!
이제 학습법에 대해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내신 학습법과 수능 학습법으로 나누어 말씀드리겠습니다.
<내신 학습법>
정지 작업 - 준비학습 - 본격학습
내신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과목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령,
사회와 역사는 정지 작업(준비학습 전단계)이 필요한 과목입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이 두 과목의 시험 준비를 미루다가 닥쳐서 하게 되는데, 그 전날 교과서로 암기를 하거나 문제집을 풀게 됩니다.
당연히 암기도 되지 않고 정리도 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험을 보게 됩니다. 그리하여, 많은 학생들이 사회/역사와 함께 보는 과목까지 좋지 않은 결과를 얻습니다.
그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방학 때를 이용하거나, 학기 중 평소에 매일 15-20분씩 사회/역사 교과서를 통독합니다. 그러다보면, 반복하여 읽게 됩니다. 그리고 시험보기 2,3전부터는 참고서를 보며 암기하고 문제를 풉니다.
다른 과목들은 4,5주 전부터 준비학습, 2주 전부터는 본격학습을 합니다.
준비학습은 교과서나 필기한 것을 정독하는 것이고, 본격학습은 참고서와 문제집으로 암기하면서 실전훈련 학습을 하는 것입니다.
<수능 학습법>
1. 기본 사항:
적은 시간을 투자하여 매일 할 일 정하기
1) 국어
오전 하루 일과를 시작할 때, 매일 15분씩 국어 관련 글을 통독하기
2) 영어
오후 일과를 시작할 때, 영어 책을 매일 10분씩 속독/통독 훈련하기:
훈련목표는, 빠르게 읽으며 이해하기
3) 사회/역사
저녁 일과를 시작하기 전이나, 자기 전에 15-20분씩 사회/역사 교과서 통독하기
2. 과목별 학습법
1) 수학
수업 혹은 교재는 3 종류가 필요합니다.
--길라잡이 수업 혹은 교재
--길라잡이 진도에 맞춰서 풀 연습 문제집
--모의고사 형태의 실전 문제집
학원 수업을 길라잡이로 할지, 연습 문제 풀이 수업으로 할지는 학원 수업의 성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 강의를 길라잡이 수업으로 정했다면, 인터넷 강의를
[예습-인터넷수업-복습]의 과정으로 학습을 하고, 연습 문제는 문제집이나 학원 수업을 이용합니다. 이 경우에 학원은 끌리닉의 기능을 하는 것이지요. 그 다음 모의고사 형식의 문제집이 필요합니다.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길라잡이 현장 수업 혹은 인터넷 수업:
반복 학습할 수 있는 기본 수업
(2) 길라잡이 수업의 진도에 따라 풀어볼 문제집 혹은 학원 수업
(3) 모의고사 형식의 전 범위를 아우르는 문제집
2) 국어
(1) 적은 시간을 투자하여 매일 독서를 합니다.
(2) 길라잡이 수업이나 교재를 정해 반복 학습을 합니다.
(3) 내신 준비 기간을 제외하고 매 주 모의고사를 풉니다.
3) 영어
(1) 매일 10분씩 속독/통독 훈련을 합니다: 빠르게 읽으며 이해하기
(2) 길라잡이 교재로 정확성을 높입니다: 어휘, 구문독해(문장 패턴 학습), 독해 문제집
(3) 내신 준비 기간을 제외하고 매 주 모의고사를 풉니다.
4) 통합사회, 통합과학
통합사회/통합과학은 현장수업으로 수능을 대비하는 것에 한계가 있습니다. 인터넷이 대세입니다. 늦어도 중3부터 인터넷 수업으로 준비를 해야 합니다.
(1) 방학 기간을 이용하여 인터넷 강의를 시청합니다. 처음에는 학습한다기 보다는 시청하며 수업 내용을 이해하면서 익숙해지는 시간을 갖습니다.
같은 강의를 방학 때마다 반복합니다.
그리하여, 고3 진입하는 겨울방학 전까지 인터넷 강의를 반복 시청합니다.
(2) 고3 진입하는 겨울방학부터 본격적으로 학습을 합니다.
(3) 고3 학습법:
길라잡이 인터넷 강의나 교재를 정합니다.
학습 과정은,
--길라잡이학습
--진도에 맞춰 연습문제 풀기
--주 1회 모의고사 실전문제
- 이전글2025 겨울방학 빈칸/수능형 독해 특강 25.01.01
- 다음글고촌고에 입학하는 학생들을 위한 영어반 구성 24.12.17